독서-토론 안건을 만들어 제공합니다
게임형 대립토론을 30여 년 동안 연구하고, 관련 책을 쓰고 있습니다
한편 학생 교육자 회사원 일반사람들에게 게임형 토론을 지도하는 사람입니다.
독서-토론으로 게임형 대립토론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독서-토론 안건을 만들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두 번째로
김원배 작가님이 쓴 책 "하고 싶은 것이 뭔지 모르는 10대에게"를 읽고 게임형 대립토론을 하려고 합니다.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게임형 대립 토론 안건을 10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각 안건에 찬성/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아래는 김원배 작가님의 책 "하고 싶은 것이 뭔지 모르는 10대에게"를 기반으로 한 게임형 대립 토론 안건 10개와 찬성/반대 입장입니다.
책의 주요 주제인 10대의 정체성 탐색, 꿈과 목표 설정, 도전과 실패의 가치 등을 반영하여 구성했습니다.
안건1. 꿈은 반드시 명확해야 한다에 찬성/반대한다.
◆찬성: 명확한 꿈은 목표 설정과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며,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찬성 배경:
책 내용: 김원배 작가는 목표가 명확할수록 실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세부 자료:
심리학자 록(Locke)과 라담(Latham)의 목표 설정 이론: 명확한 목표가 모호한 목표보다 성과를 더 높인다.
"꿈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계획을 세운 사람들이 성공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례(예: 올림픽 선수들의 훈련 계획).
◆반대: 10대에게는 다양한 경험과 탐색이 더 중요하며, 명확한 꿈을 강요하면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 배경:
책 내용: 10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탐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세부 자료:
하버드대의 청소년 발달 연구: 꿈은 삶의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의 명확함이 반드시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유명 작가들이 다양한 경험 후에 자신의 길을 찾은 사례(예: 조앤 K. 롤링).
※참고문헌
박보영(2016), 글로벌인재 대립토론으로 키운다, 교육과학사.
-----(2017), 대립토론으로 인생이 바뀐 사람들이야기, 교육과학사.
-----(2017), 토론은 게임이다,와이스쿨.
-----(2017), 실전 대립토론,(박보영 조슈아박 공저),교육과학사.
-----(2022), 세계적인 리더를 키우는 102개 안건으로 게임형 대립토론에 열중하기,교육과학사(신간)
-----(2024), K-게임형 대립토론 (학생주도성) 모델, 도서출판 오래
'토론학교(Debating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땅의 야수들" 독서-토론 안건(3) (0) | 2025.02.15 |
---|---|
찾아가서 진행하는 소그룹 연수회 (0) | 2025.02.14 |
세번째 소그룹 연수를 거제시에서... (3) | 2024.07.16 |
찾아가서 진행하는 소그룹연수 (0) | 2024.04.29 |
책!책! "K-게임형 대립토론 모델 구안&활용"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