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짜로 공부하는 토론게임 (대립토론)

심리언어학자 이덕봉박사에게 듣는다(2)

 

안중근의사가 사형선고를 받은 날 & 발렌타인데이! 바로 2월 14일 

어제에 이어서 '심리언어학 원로학자 이덕봉 박사에게 듣는다' 2번째로서 오늘은 안중근 의사의 호칭문제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의 기회가 되면 "안중근의사의 호칭을 바꾸는 것에 대하여 찬성/반대한다"로 안건을 정해서 게임형 대립토론을 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여 자료를 제공합니다.  

게임형 대립토론을 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하기바란다

안중근장군? 안중근의사?

올해 2월 14일은 안중근이 사형선고를 받은 날이고,

3월 26일은 안중근 서거 112주기가 되는 날이다.

100주기이던 2010년 3월 23일에 국방부와 육군은 안중근에게 정식으로 장군 칭호를 부여하였으나, 국가보훈처에서는 아직도 의사 칭호를 고수하고 있고 교육부의 교과서에도 의사로 표기되어 있다.

육군사관학교 교정에는 안중근 장군 동상이 2015년에 들어섰고, 1976년에 건립된 충의비에는 안중근의 휘호인 “위국헌신 군인본분 爲國獻身 軍人本分”이라는 군인정신이 새겨져 있다. 육군본부 회의실에도 안중근 장군실이 있다고 한다.

 

(장군으로 바꾸어야 한다라는 주장)

'의사'는 日주장 돕는 꼴…

장군도 사상가 될 수 있어…

이순신 장군도 있는데 장군이 의사 아래인가?

 

안중근은 하얼빈 의거 후 뤼순 법정에서 나는 대한의군의 참모중장으로서 적장을 쏜 것이므로 나에게 적용할 법은 일본·청국·한국 어느 나라의 법이 아니라 육전(陸戰) 포로에 관한 국제법이라고 네 차례나 주장하였다.

안중근은 심문과정에서 "군인이라면 직속상관을 대라"고 하자 실명(김두성)을 들었고, 고종 황제의 지시 여부에 대해서도 "있었다"고 답하였다.

'의사(義士)'라는 호칭은 하얼빈 의거 직후 우리 독립운동 진영에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안중근의 법정투쟁 내용을 알지 못한 상태였다. 그들은 안중근의 영웅적 거사 성공을 기리는 마음에서 의사라는 호칭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의사'는 조직의 존재보다 개인 행위의 이미지를 더 강하게 주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안중근을 단독살인범으로 몰았던 일본 정부의 의도를 도와주는 결과를 가져온다.

국가보훈처가 장군은 1년에 60명이나 배출되고 의사는 수십 년에 한 사람 나온다는 이유로 '안중근 의사'란 호칭을 재검토하자는 의견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이순신 장군 같은 분은 1,000년에 나올까 말까 한 분인데 어떻게 '장군'이 '의사'보다 아래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의사라고 그대로 하자는 주장)

의거 못지않게 안중근 의사가 민족독립과 동양평화, 그리고 인류공영의 숭고한 뜻을 세우고 펼쳐온 과정도 큰 의의가 있다. 의사라는 이름은 나라와 겨레, 나아가 인류 평화에 대한 '대의(大義)'를 세우고, 그 옳은 뜻에 몸을 던져 구현한 사람들에게 붙이는 역사용어이다.

안중근 의사는 대한의 독립이 우리만의 일이 아니라, 동양평화, 나아가 세계평화와 직결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광무 황제가 강제 퇴위 되고, 군대가 해산되는 망국의 상황이 도래하자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하여 의병부대를 이끌고 항일전에 나섰던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활동지역에 나타난 한국침략의 원흉이자 동양평화의 파괴자인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역에서 처단한 것이다.

안중근 의사의 빛나는 점은 바로 이것이다. 동양평화와 인류평화는 남의 나라를 침략하여 식민지로 삼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독립을 보장하여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드는 데 있다는 사실을 세계만방에 알린 것이다. 안중근 의사를 동양평화의 수호자이자 인류평화의 사표인 '의사'로 불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느 쪽이 옳은 호칭인가) 리산 이덕봉(2022.2.12)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은 일본 메이지 천황의 동양 평화에 관한 칙어를 인용 발전시킨 것이다.

1904년 2월 10일 메이지 천황은 러시아에 대한 선전포고문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필자 번역)

[짐의 생각은, 문명을 평화적으로 발전시켜, 여러 외국과 우호 관계를 촉진함으로써, 아사아의 안정을 영원히 유지하고, 또한, 각국의 권리나 이익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면서, 오랫동안 일본제국의 장래의 안전이 보장되는 상황을 확립하는 데에 있다.이는 짐이 타국과 교섭할 때에 가장 중시하는 바로, 언제나 이러한 생각에 어긋나지 않도록 유념해 왔다. 짐의 부하들도, 이러한 짐의 의사에 따라 각가지 일을 처리해 왔기 때문에, 외국과의 관계는 해가 갈수록 점점 두터운 친교를 맺기에 이르렀다. 지금 불행하게도 러시아와 싸우게 되었지만, 이는 결코 짐의 의지가 아니다.

 

일본제국이 한국의 보전을 중시해 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와 한국은 여러 세대에 걸쳐 관계를 유지해왔을 뿐 아니라, 한국의 존망은 일본제국의 안전보장에 직접 관계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원문)

[惟ふに文明を平和に求め列国と友誼を篤くして以て東洋の治安を永遠に維持し各国の権利利益を損傷せすして永く帝国の安全を将来に保障すへき事態を確立するは朕夙に以て国交の要義と為し旦暮敢て違はさらむことを期す。朕か有司も亦能く朕か意を体して事に従ひ列国との関係年を逐ふて益々親厚に赴くを見る。今不幸にして露国と釁端を開くに至る豈朕か志ならむや。

 

帝国の重を韓国の保全に置くや一日の故に非す。是れ両国累世の関係に因るのみならす韓国の存亡は実に帝国安危の繋る所たれはなり。]

 

물론 이 선전포고문은 러시아와의 전쟁을 위한 명분으로 내세운 것이지만, 안중근은 이등박문 처단의 명분으로 삼은 것이다. 안중근은 법정에서 메이지 천황의 뜻을 거역한 이등박문을 동양 평화에 관해 같은 뜻을 가진 고종황제의 지시를 받아 대한의군 참모중장의 자격으로 처단하였음을 강조한다. 뤼순감옥에서 쓴 유묵에도 위국헌신 군인본분'(爲國獻身 軍人本分·나라를 위하여 헌신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 이라고 본인의 의지를 밝히고 있다. 간수 중에 안중근을 존경하게 된 사람들도 주군(대한제국 황제)에 대한 일본인이 이해하기에는 사무라이로서의 충성을 보인 점에 존경을 표한 것이었을 것이다.

 

안중근은 동학군을 토벌한 관군이었고 13도 창의군 조직의 일원으로서 대한의군 특파독립대장 겸 아령지구사령관을 거쳐 대한의군 참모중장이라 밝혔다는 것은 대한제국 참모로서 을사늑약에 반기를 든 최초의 공인이 된다. 이는 역사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게 된다.

 

민간인으로서의 의사 칭호는 일본이 테러리스트로 치부할 빌미를 주게된다. 그러나 황제의 군인으로서라면 그의 거사는 고종황제에 대한 충성의 결과가 된다. 그리하여 동양평화론이 보다 정론화 되는 것이다. 우리는 안중근 이후 112년 동안 동양평화론을 단 한 줄도 가필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 역사에는 걸출한 인물로서 이순신 장군, 홍의 장군, 녹두 장군, 김좌진 장군과 같은 다양한 장군들이 있다. 이들이 의사가 아니라서 홀대받는다는 생각은 아무도 하지 않을 것이다.

 

안중근이 1909년에 이미 대한의군, 대한국인임을 밝힘으로써 대한제국인임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있는 점은 1919년 3.1독립선언문에서 33인이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것과 사뭇 다르다. 나라 잃은 식민지 시대가 아닌 어엿한 대한제국의 국민이었던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안중근의 사망 후 두 자녀는 거둔이가 없어서 뿔뿔이 흩어졌다가 장남 안문생(安文生)은 1911년에 7세 나이로 음식에 중독돼 죽었고, 차남 안준생은 30여년을 구걸하다시피 떠돌아 다니다가 일제가 돌보게 되면서 이등박문의 아들의 양자로 들어가고 누나 안현생도 동생과 함께 친일파로 전락하는 신세가 된다. 아무도 돌보지 못한 책임이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안중근의 유해는 아직도 못 찾고 있고 아무런 연고도 없는 전남 장흥군 죽산안씨 문중인 만수사 내에 해동사라는 사당을 지어 67년째 제사를 올리고 있다. 죽산안씨 문중과 장흥군에서는 공식행사로서 사망일인 3월 26일에 추모제가 열린다.

 

안중근은 동양평화론의 서문만 적어두고 미완성인 채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우리에게는 그의 동양평화론을 구체적으로 완성하여 국제화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그리하여 국제관계의 지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참고로 리산 이덕봉 박사는

한국대립토론협회 지도위원,전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장, 일본 쓰쿠바 대학교 대학원 심리언어학 박사, 한국 일본학회 14, 15대 회장 역임, 현 한국교육문화융복합학회 회장, 일본 릿쇼대학 심리학부 초빙교수 겸임, 메타포의 심리학, 일본어 교육의 이론과 방법, 언어인지, 언어 습득 이론, 교수 이론 분야 등 저서와 학술 논문 다수 있음.

한국대립토론협회 창립총회에서 대립토론에 대하여 특별강연하는 이덕봉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