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공개 하는 "학생회 임원 리더 교육안"
나의 꿈은( )이다!
나는 리더가 될 수 있다.
박보영(교육학박사)
전임 초등학교 교장, 대립토론교육전문가
여러분은 이미 지도자 리더가 될 준비가 되어있고. 한걸음 내어 딛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여러분의 꿈은 무엇입니까?
( )속에 써 보세요.
1. 자도자 즉 리더라면?
강물에 비유하면서 6가지를 제시 합니다. 이를 마음에 새기고 행동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강물은 항상 흐릅니다(항상성)
-강물은 항상 변합니다(변화 지향성)
-강물은 일정한 목표를 향해 흐릅니다(방향성)
-강물은 유연하게 흐릅니다(유연성)
-강물은 형태가 여러 가지입니다. 즉 형태가 다양합니다.(다양성)
2.리더의 자세
가. 움직임과 태도
나. Palm Card사용하기
다.“다” 발음하기
라. 확신 있는 말하기
어째서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가요?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성격이 내성적이어서 그리고 긍정적인 성격보다는 부정적인 성격이 강하여 스스로에게 자신이 없고 잘하는 것이 없다고 자신을 자학하는 데서 오는 자포자기적인 행동결과 일수 도 있습니다.
또 실제로 타고난 능력 탓에 말하기 능력이 부족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말에 관련된 속담은 무수히 많습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말 한 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말에는 아와 어가 다르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말 같지 않은 말은 귀가 없다.
말 많은 집 장맛이 쓰다.
말은 꾸밀 탓으로 간다.
말은 보태고 떡은 뗀다.
말은 적을수록 좋다.
말은 할 탓이다.
말은 할수록 늘고 되질은 할수록 준다.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말이 고마우면 비지 사러 갔다가 두부 사온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말이 씨가 된다.
말이란 탁 해 다르고 툭 해 다르다.
말하면 백 냥 금이요 입 다물면 천 냥 금이라 등과 같이 말에 대한 속담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속담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말을 잘한다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말을 늘 조심해야 합니다. 또 말은 해야 할 말이 있고 해서는 안 되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니 말을 잘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닙니다.
특히 우리말에는 아름다운 말과 아름답지 않은 말, 고운 말과 거친 말이 있습니다. 이 또한 골라서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이야기지만 미국의 16대 대통령 링컨의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링컨이 의회에서 한 야당의원으로부터 이런 비난을 받게 되었습니다.“당신은 부도덕하고 두 얼굴을 가진 이중인격자요.” 그러자 링컨이 억울하다는 표정으로 다음과 같이 반문했습니다.“만일 나한테 얼굴이 두 개라면 왜 이런 중요한 자리에 하필이면 이 못생긴 얼굴을 가지고 나왔겠습니까?” 정치 경쟁자들은 끊임없이 그의 외모에 시비를 걸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화를 내기는 커녕 자신의 외모를 유모어의 소재로 종종 활용했다고 합니다. 결국 링컨의 이런 여유 있고 유모러스 한 말투는 그의 유연한 사고를 대변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그를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링컨의 이러한 유모러스 한 자세, 말투, 유연한 사고는 어디서 생겼을까요? 어떻게 해서 생겼을까요?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링컨도 학창시절에 엄격한 스피치 훈련즉 말하기 훈련을 받았고 학창시절에 뛰어난 토론선수 출신이라는 것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훌륭한 지도자 즉 리더와 말하기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끊임없는 말하기 훈련, 대립토론 즉 디베이팅에 열중했으며 피나는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부족하다고 느끼면 더욱 열심히 참여하고 끊임없이 참고 노력하며 연습에 전념하는 길이 스스로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노력해야 할 점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훌륭한 리더는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스스로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말하기 능력이 뛰어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하는 길은 결국 나를 극복하는 것입니다.
말을 잘한다고 하는 것은 할 말과 안할 말을 잘 골라서 할 줄 알아야 하고, 때와 장소에 따라서 알맞은 말을 할 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아름다운 말을 골라서하며, 되도록 말을 줄이고, 확신 있는 말을 사용하며, 말을 바르게 하는 사람을 우리는 말을 잘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빠뜨려서는 안 되는 또 다른 중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스스로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확신 있는 말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언어생활을 살펴봅시다.
자신감이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한 확신 없는 말하기는 우리의 언어생활을 파괴하고 그 결과는 신뢰감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더구나 말하기 능력을 저하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얼마나 잘못된 언어생활을 하고 있을까요?
‘불고기 2인분을 먹고 나니 배가 부른 것 같아요.’‘교실에 에어컨을 켜니 아주 시원한 것 같아요.’와 같이 확신 있는 말‘배부르다.’‘시원하다.’를 ‘같아요.’라고 확신 없는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같습니다.’도 마찬가지이다. 즉 배추 값이 장마로 인해 두 배 이상 올랐는데 장마 전에 비해 비싼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확신 없는 말을 사용하는 사례는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확신 없는 말을 줄이고 확신 있는 말을 사용함으로서 말하기 능력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한 언어 교육의 한 방법입니다. 특히 리더에게는 더욱 필요하다.
마. 말하는 자세
바. 오바마의 화법
3.학생회 임원이라면?
가. 회의진행 공부를 하라
회의 진행절차를 잘 알아야 합니다. 회의마다 진행절차는 다릅니다. 이를 공부해야합니다.
그리고 의사 결정하는 방법을 잘 공부해서 익숙해야합니다.
방법을 잘 익히고, 사전에 어떤 결정을 어떻게 내려야 할지는 끊임없이 고심하고 연구하며 전체의 의견을 따르는 결정을 해야 합니다
나. 핵심을 잡아라
학생회 임원은 리더로서 커가는 과정입니다. 여러 가지 훈련이 필요하겠지만 다른사람이 말하는 것을 메모하며 경청하고 핵심을 잡아 다른 사람들에게 이해하도록 안내한 역할 이 필요합니다.
다. 전체를 이끌어야한다
리더는 전체를 보아야 합니다. 전체를 이끌어야합니다.
라. 적당한 결단이 필요하다
격렬한 토의가 이루어 질 때가 있습니다.
마. 자신감을 가져라
'나는 할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는 자가 결국 승리하는 것입니다.
4. 리더가 되려면?
3:3전략을 제시합니다.
가. 첫 번째 세가지 즉 3(삼)입니다
1)닮고 싶은 사람을 정해라
2)생각을 바꿔라
3)인상을 바꿔라
나. 두 번째 세가지 즉 3(삼)입니다.
1)RE-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2)FE- 몸을 건강하게 해야 한다.
3)DE- 능력을 키워야 한다.
토론의 달인 세상을 이끈다. 세상을 이끄는 리더의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 방법은? Debating전략입니다.
'笑山박보영 이야기 > 21세기 리더를 키우는 3대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들의 행복한 배움으로 행복한 삶이 이루어지는 미래를 만들어 가자! (0) | 2013.12.19 |
---|---|
박보영 박사가 연구하고 실천한 "인재를 키우는 3대전략"을 아시나요? (0) | 2013.09.23 |
21세기리더를 키우는 3대 전략 중에 Debating(대립토론)전략에 대하여... (0) | 2013.04.30 |
21세기리더를 키우는 3대 전략 중에 Debating(대립토론)전략에 대하여... (0) | 2013.03.11 |
21세기 리더를 키우는 3대 전략 중에서 "Reading" 전략은 ? (0) | 2013.03.01 |